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끓인 음식도 실온에 방치 시 식중독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추운 겨울철에도 위험한 퍼프린젠스 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고 퍼프린젠스 식중독 예방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끓였던 음식 실온 보관 시 주의해야 하는 퍼프린젠스 식중독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장립)는 끓였던 음식이라도 실온에 방치할 경우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이하 퍼프린젠스)이 발생할 수 있으니 대량 조리한 음식은 나누어 식힌 뒤 냉장보관 하는 등 각별히 주의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합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발생 현황을 보면 최근 5년 간 총 47건의 식중독 사고로 1,655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음식 관리에 소홀하기 쉬운 봄, 가을, 겨울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고 합니다.
최근 5년간('16~'20) 계절성 퍼프린젠스 식중독 발생은 봄(3~5월) 24건 771명, 가을(9~11월) 7건 501명, 겨울(12~2월) 9건 293명, 여름(6~8월) 7건 70명이었다고 합니다. 프프린젠스 식중독 발생 장소는 음식점이 총 27건 1,061명으로 가장 많았고, 학교 외 집단급식소에서 7건 331명, 학교 집단급식소에서 5건 143명, 기타 장소가 8건 120명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 발생 원인
발생 원인은 돼지고기 등 육류 음식으로 인한 식중독이 8건 5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시락 등 복합조리 식품이 3건 294명, 곡류가 2건 31명, 채소류가 2건 26명이었다고 합니다. 참고로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식사 후 6~24시간의 잠복기 후에 묽은 설사나 복통 등 가벼운 장염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봄철과 가을철에 많이 발생하지만 가열온도 미준수 등 부적절한 열처리나 보관·유통 등 관리 소홀시 추운 겨울에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합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국, 고기찜 등을 대량으로 끓이고 그대로 실온에 방치할 경우 서서히 식는 과정에서 살아남은 /퍼프린젠스 아포(spore)가 깨어나 증식하여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포는 퍼프린젠스균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형성하는 것으로 끓여도 죽지 않고 휴먼상태로 있다가 세균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다시 증식하므로 대량으로 조리 후 서서히 식힌 음식은 재가열 후 섭취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많은 양의 도식락을 조리·배달하는 음식점이나 급식소에서 국, 고기찜 등을 대량으로 조리하고 그대로 실온에서 장시간 보관한 후 충분히 재가열하지 않을 경우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최근 같은 업체의 도시락을 먹은 대전지역 9개 유·초등학교 학생 50여 명이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여 일부 환자에서 신속검사를 실시한 결과 퍼프린젠스 식중독균이 다수 검출되었으며 현재 원인·역학 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고 합니다.
식약처는 "음식 조리·보관 시 주의를 기울이면 식중독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며, 급식소나 대량 조리 음식점 등에서 조리 순서와 조리 식품 보관방법, 보관온도를 준수해달라"고 강조했다고 합니다.
또한, 많은 양의 도시락(김밥, 햄버거 등 포함)이 필요한 경우 여러개의 음식점에 분산하여 주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퍼프린젠스 식중독 예방 요령을 지켜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 예방법
1. 조리 시 육류 등은 중심온도 75℃ 1분 이상 환전히 조리하기
2. 조리음식 냉각 시 차가운 물이나 얼음을 채운 싱크대에 올려놓고 산소가 골고루 들어갈 수 있도록 규칙적으로 저어서 냉각하기
3. 보관 시 가급적 여러 개의 요익에 나눠 담고, 따뜻하게 먹는 음식은 60℃이상, 차갑게 먹는 음식은 5℃이하에서 보관하기
※ 뜨거운 음식을 바로 냉장고에 넣으면 냉장고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보관 중인 음식도 상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식혀서 보관하기
4. 섭취 시 조리된 음식은 가능한 한 2시간 이내에 섭취하고, 보관 음식 섭취 시 독소가 파괴되도록 75℃ 이상으로 재가열하기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식 증상과 치료 (0) | 2022.02.03 |
---|---|
성장통 원인과 치료(성장통 체크리스트) (0) | 2022.01.28 |
심근경색·뇌졸중 증상과 예방·관리법 (0) | 2022.01.24 |
근감소증 원인과 예방법 (0) | 2022.01.23 |
RS바이러스 유행 모세기관지염·폐렴·고열·호흡곤란 주의 (0) | 2022.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