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여드름과 착각하기 쉬운 모낭염에 대해 알아보고 관리방법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인기글
쌈 채소 종류와 효능을 알아보며 맛있는 고기 쌈 하세요^^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발급 인터넷 혹은 모바일 발급 방
성격유형 테스트(MBTI·애니어그램 검사·D.I.S.C 검사·OCEAN 테스트)
만0세~2세 영아관찰척도 (어린이집 영아 관찰 및 평가)
먹태와 황태 차이? (명태&황태&먹태) 그리고, 황태 효능
여드름 vs 모낭염 차이점 및 관리방법
목 뒤에 여드름 비슷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 여러 개 보인다면 이것은 여드름일까요? 가만히 두면 사라질 줄 알았는데 정수리 부근부터 시작해 목 아래까지 빼곡히 나기도 합니다. 피부과에서 진료를 받으니 '모낭염'이라는 진단을 받습니다. 단순한 여드름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모낭염은 모양이나 증상이 여드름과 비슷해 구분하기 어렵지만, 치료법이 전혀 달라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합니다.
모낭염은 털을 감싸는 모낭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주요 원인은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이 세균이 모낭에 침투해 오염을 일으키고 염증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피지와 각질이 모공을 막아 생기는 여드름과는 달리 세균 감염이 원인인 셈입니다.
특히 더러운 손으로 얼굴을 만진 경우나 오염된 면도기를 사용하는 등 세균이 옮겨 붙어 감염된다고 합니다. 술이나 담배 등을 즐기면 더욱 악화된다고 합니다. 모낭염에 감염되면 5~6개의 빨간 돌기가 한 곳에 뭉쳐서 생긴다고 합니다. 여드름으로 착각해 모낭염의 염증을 짤 경우 더 크게 부어오릅니다.
모낭염은 특히 한국 사람에게 자주 발생한다고 합니다. 잦은 음주, 야근, 스트레스, 피로 등으로 몸의 항상성이 빈번히 깨지면서 피부 면역력이 떨어지고 염증이 잘 생기는 민감한 피부 환자가 많아서라고 합니다. 모낭염 환자는 몸에 열이 많은 편이라고 합니다. 염증 후 모낭의 회복이 잘 되지 않고 피부재생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피부 면역력을 증진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한 셈입니다.
모낭염을 막기 위해서는 모낭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씻지 않은 손으로 얼굴을 자주 만지지 않는 게 좋습니다. 평소 세안도 깨끗이 하고, 소독·건조된 면도기를 사용하는 게 안전하다고 합니다.
피부에 좋은 피망, 토마토, 호박 등의 채소를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 녹색 잎채소 등은 얼굴의 부기를 가라앉히고 체내의 열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보카도, 올리브오일, 감귤, 키위 등은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더해줄 수 있다고 합니다. 모낭염은 피부를 손상시키고 흉터를 남게 하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여드름
여드름은 모공 중앙에 하얀 기름이 차 있고 압출했을 때 염증과 함께 여드름 씨앗이라고 하는 면포가 빠져나옵니다.
모낭염
모낭염은 아무리 압출을 해도 염증만 나올 뿐 면포가 빠져나오지 않습니다. 면포가 생기지 않고 바로 붉고 아픈 염증으로 나타납니다.
여드름과 모낭염 차이점
위에서 알아본 것과 같이 모낭염은 서로 비슷하게 보이지만 다른 질환입니다. 여드름은 모낭 속에 피지가 고이면서 나타나는 반면, 모낭염은 모낭에 염증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피부 질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면포가 있는지 없는지 보는 것입니다. 면포는 여드름 씨앗이며 화이트헤드가 폐쇄 면포, 블랙헤드가 개방 면포라고 합니다.
여드름은 면포를 거쳐서 염증성 병변으로 진화하고 모낭염은 면포가 생기지 않고 바로 붉고 아픈 염증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모낭염 치료법
모낭염은 초기에 곪은 부위를 절개하고 고름을 빼낸 후 항생제를 복용합니다. 만성 염증이라면 항균, 항바이러스, 항소양 작용이 있는 부신피질호르몬 제제를 피부에 도포하기도 합니다.
여드름 치료법
여드름은 바르는 약, 먹는 약, 외과적 치료로 나뉩니다. 여드름 치료는 막힌 모낭을 제거하여 피지가 잘 배출되도록 하거나, 세균의 성장과 염증,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여드름의 심한 정도화 형태에 따라 먹는 약과 바르는 약을 단독으로 혹은 복합하여 선택하게 된다고 합니다.
여드름 약은 부작용이 따를 수 있으므로 의사 처방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외관적인 치료는 증상 부위에 대한 주사 요법, 여드름 압출 치료, 박피술, 레이저 치료, 광역동 치료 등이 있다고 합니다.
안면홍조증 의사 처방없는 연고 남용 위험성(안면홍조 원인과 치료법·예방법)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그럼 여기까지 여드름과 모낭염 차이점 및 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꿀팁 > 미용·패션뷰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젤네일 관리법(셀프 젤네일의 손발톱 관리법) (12) | 2024.10.13 |
---|---|
'물 단식' 체중 감량에 얼마나 효과적일까? 부작용은? (7) | 2024.08.30 |
제모 장점과 단점 (1) | 2024.08.19 |
여드름 화장품 사용시 주의사항(여드름 종류와 치료법) (4) | 2024.07.21 |
마이크로 니들샷 화장품 주의할 점 (0) | 2024.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