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정보/코로나19

코로나19 돌연변이 바이러스 중 베타가 가장 무섭다!

by 니~킥 니~킥 2021. 8.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프랑스 남아공발 베타 변이 바이러스

최근 델타 변이 확산으로 많은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네이처에 게재된 내용에 델타보다 베타가 더 무섭다는 말이 있었다고 합니다.

자세한 정보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19 돌연변이 바이러스 중 베타가 가장 무섭다!

 

코로나19 델타변이(인도 발원) 바이러스가 전 세계 방역의 핵심 변수과 되었다고 합니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2배 이상 높아 지금까지 나온 대부분의 변이 바이러스를 누르고 우세종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도 4차 대유행의 불길이 갈아앉지 않지만, 차라리 델타변이가 우세종이 된게 다행일 수 있다는 웃지못할 말도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강한 전파력 보다 무서운, 높은 치사율을 가진 베타 변이가 델타 변이에 묻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8월 15일 바이오엡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나온 알파, 벨타, 감마, 델타, 람다 변이 중 위중증률과 치사율 관련 가장 위험한 종은 베타변이라는 점이 과학잡지 네이처에 게재되었다고 합니다.

2020년 말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원한 베타 변이는 2020년 중순 영국에서 발견된 알파 변이와 함께 올해 초까지만 해도 전 세계에 '우세종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은 코로나19 돌연변이 바이러스라고 합니다.

 

베타 변이란?

B.1.351로 알려진 '베타 변이'는 지난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베타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더 단단히 결합하도록 돕는 여러 돌연변이를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베타 변이는 E484K 돌연변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바이러스가 중화 항체를 회피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E484K 돌연변이는 브라질에서 처음 학인된 '감마 변이'와 영국에서 처음 확인된 '알파 변이'를 포함해 여러 변이에서 나타났다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모두 베타 변이를 '우려 변이'로 분류 했다고 합니다.

'베타 변이'는 왜 '우려'되는 것일까?

과학자들과 보건 관계자들은 베타 변이가 남아프리카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보고 크게 걱정했다고 합니다.

그들의 우려는 베타 변이가 현재 사용중인 백신의 중화 항체를 회피하는 것이 나타남으로써 더해졌다고 합니다.

남아프리카는 지난 2021년 2월 임상시험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이 베타 변이에 잘 작동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자 배포를 중단했다고 합니다.

영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크게 의존해 왔기 때문에 베타 백신에 대해 더욱 조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이것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베타 변이 바이러스와 백신의 효능성

베타 변이는 백신을 회피하는 능력이 있어서 백신 효과가 제일 낮은 변이 바이러스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개발된 백신은 대부분 스파이크 단백질과 ACE2의 결합을 차단하게 디자인 되었다고 합니다.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에 변화가 생기면 백신 효과가 잠정적으로 떨어지는 이유가 여기에ㅐ 있다고 합니다.

현재 사용 중인 백신의 중화 항체는 베타 변이와 결합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베타 변이가 백신을 저종자의 면역계도 피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한때 전체 감염의 절반을 베타 변이 바이러스가 차지했던 카타르의 연구에 따르면, 화이자 백신은 베타 변이에 72~75%의 예방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mRNA 백신은 베터 변이 감염의 중증도와 사망률을 낮추는 데에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합니다.

베타가 지배적이었을 때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실시한 임상시험에서 존슨앤드존슨 백신은 64%의 효능을 보였으며, 중증질환 예방에는 82%의 효능을 보였다고 합니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이 수치보다 떨어지는 10.4% 예방 효과밖에 없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럼 여기까지 코로나19 돌연변이 바이러스 중 베타의 소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